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if문
- #완전수구하기
- #이차원배열
- 팩토리얼
- #java_festival
- 2차원배열
- 비교연산자
- 삼항 연산자
- 연산자
- 별찍기
- java
- 논리연산자
- 로또 프로그램
- #알고리즘
- for문 369게임
- 복합대입연산자
- JAVA기초
- 이진수
- switch문
- 소인수분해
- #Java
- plusgame
- switch-case문
- 피보나치수열
- 증감연산자
- 변수의특징
- 알고리즘
- else if문
- 데이터타입
- java조건문
- Today
- Total
목록DataBase (3)
숭어 개발 블로그
N+1 문제연관 관계에서 발생하는 이슈로 연관 관계가 설정된 엔티티를 조회할 경우에 조회된 데이터 갯수(n) 만큼 연관관계의 조회 쿼리가 추가로 발생하여 데이터를 읽어오게 된다. N+1은 왜 발생 이유 N+1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객체지향 언어간의 패러다임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. 객체는 연관관계를 통해 레퍼런스를 가지고 있으면 언제든지 메모리 내에서 Random Access를 통해 연관 객체에 접근할 수 있지만 RDB의 경우 Select 쿼리를 통해서만 조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N+1문제가 발생하면 쿼리가 배수적으로 증가하면서 DB에 큰 부담이 발생하게 되고 장애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. 또한 사용자 관점에서 지연율 또한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. ..

Barker표기법 - 오라클(Oracle) 에서 Case Method로 채택하여 사용 1.엔터티 (Entity) - 모서리가 둥른 소프트 박스 형태로 표현 - 하나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 2.속성 (Attribute) * (Mandatory) : 어떤 값을 반드시 저장해야하는 경우 ( Not Null) o (Optional) : 어떤 값이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 하지 않을수도 있는 경우 3.관계(Relationship) - 두개의 엔터티간에 CONDITIONAL을 표기한후 해당 엔터티의 가까운 위치에 관계 명칭 표기 4.식별자 (Unique Identifier) - 식별자란 하나의 엔터티에 구성되어있는 여러개의 속성 중에 엔터티를 대표할 수 있는 속성 - 하나의 엔터티에는 반드시 하나의 식별자가 존재해야한..

Database 란? - 데이터베이스는 정보의 조직화된 집합체 이다.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- 실시간 접근성 : 사용자나 응용프로그램의 요구를 즉시 처리, 응답 - 계속적인 변화 :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은 어느 한 순간의 상태를 나타내지만, 데이터 값은 삭제, 갱신 등으로 값이 지속적으로 변화 - 동시공유 : 서로 다른 업무 또는 다수의 사용자나 응용프로그램이 동시에 접근 - 내용에 의한 참조 : 데이터의 물리적 위치를 몰라도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 Database System -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(Database Managemment System, DBMS) :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 시켜주는 소프트웨어 - 데이터베이스(Database) : 물리적으로 컴퓨터 내부의 하드디스크에..